Surprise Me!

[뉴있저] 백신 불신 키우는 정치권, 근거는 있나? / YTN

2021-03-02 10 Dailymotion

■ 진행 : 변상욱 앵커 <br />■ 화상연결 : 김윤 /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연휴가 끝나고 다시 본격적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이런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효능을 두고 정치권에서 의문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정말 우려가 필요한 상황인지, 왜 자꾸 이런 논란이 거듭 되는지 전문가와 함께 상황을 좀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서울대 김윤 의료관리학과 교수가 연결되어 있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십니까? 나와 계시죠? <br /> <br />[김윤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백신 누적 접종자가 이제는 2만 3000명을 넘었다고 집계가 되고 있습니다. 큰 이상반응이 있다거나 이런 소식은 아직은 안 들어왔는데 접종 상황 지켜보시니까 어땠습니까? <br /> <br />[김윤] <br />조금 느리기는 하지만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백신 접종이 시작되기 이전에는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는 상황이었는데 우려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것 같고 기대가 점점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효능에 대해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. 국민의힘 김종인 위원장이 그 백신은 유럽에서 기피하는 백신이다, 이렇게 발언을 한 것인데 말이죠. 여기에 대해서 어디까지가 사실인지, 또는 잘못 전달이 된 건지, 어떻게 해석을 해야 되겠습니까? <br /> <br />[김윤] 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노인에서의 효능이 논란이 시작된 이유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노인의 숫자가 좀 적었기 때문입니다. 그러니까 임상시험 결과 효과가 없었던 게 아니고 효과가 있다고 하는 점을 통계적으로 강력하게, 확신 있게 주장하기에 숫자가 너무 적었던 거죠. 그것 때문에 독일이나 프랑스 등의 일부 유럽 국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65세 미만에게만 접종하도록 그렇게 권고를 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노인에게 대규모로 접종한 영국, 그중에서도 스코틀랜드에서의 연구 결과 노인에서는 오히려 화이자 백신에 비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중증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이 보고가 되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중증 예방효과가 노인에서 한 94%로 화이자 백신의 85%에 비해서 한 10% 정도 더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결과가 발표되면서 최근에 프랑스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30219214181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